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전북학 DB

전북학연구

< ISSN 2713-5772 >

『전북학연구』는 복합학을 지향하는 학술지입니다. 전북특별자치도와 관련있는 다양한 주제가 연구되고 논의되어 전북학 연구의 새로운 담론이 형성될 수 있도록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과 참여바랍니다.

전북학연구, Vol.10 (2023)
pp.175~220

DOI : 10.59592/JBST.2023.10.007

- 조선의 울릉도 관리와 1614년 동래부사의 서계 -

이훈

(한림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연구교수)

본 연구는 임진왜란 이후 조선의 울릉도 영유와 관리 문제를, 1614년 일본측(대마번)의 울릉도(礒竹島) 탐사 요청과 이에 대한 조선의 대응을 중심으로 검토해 본 것이다. 그 결과 1614년 동래부사의 회답 서계(윤수겸‧박경업)에 반영된 조선 정부 의 울릉도 영유에 대한 논리 및 변경 관리(關防) 방침이 17세기 말 ‘울릉도쟁계’ 교섭시 예조의 서계(예조참판 李畬, 1694.9)에도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었음을 규명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3가지 논리가 관철되어 있었음을 밝혔다. ① 첫째는, 울릉도가 조선 영유라는 근거로서「礒竹島(竹島)=鬱陵島」라는「1도 2 명」논리가 이미 1614년 당시부터 구사되었다는 것이다. ② 둘째, 대마번주 앞으로 발급된 동래부사의 서계(2통)에는, 우선 ‘일본인(또는 일본 선박)의 울릉도 무단 도해 금지 및 ‘약조’(기유약조, 1609)에서 정한 항로(「대 마도↔부산포」직항로) 이탈 시에는 일본의 민간인이라 하더라도 ‘처벌’하겠다는 내 용이 기재되어 있었는데, 이는 15세기 중반 이래 조선의 해금(海禁)을 바탕으로 한 변경 관리 방침이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③ 셋째는, ‘일본인(또는 일본 선박)의 울릉도 무단 도해 금지를 막부에 전달해 달라’는 요청이 기재된 동래부사(1614, 윤수겸‧박경업)의 회답 서계를 대마번이 수 령한 이후 이를 어떻게 취급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마번은 ‘울릉도쟁계’ 교섭(1693~1699년)이 진행 중이던 1695년 시점까지 80년 가까이 보관‧검토했음에 도 불구하고, 결국은 ‘鬱陵島(蔚陵島)=竹島’의 증빙 자료로서 동래부사(1614, 윤수 겸‧박경업)의 회답 서계를 막부에 제출하지 않았다고 결론지었다. 그 이유로는 대 마번의 존속과 이익이라는 측면에서 울릉도(礒竹島) 탐사 요청에 대한 ‘이에야스 지시’의 참칭을 은닉하기 위해 고의로 누락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론해 보았다.

The Management of Ulleungdo in Choseon and the 1614-year Seogye of Dongnae-Busa

Lee Hoon

This study examines the issue of Choseon's territorial rights and management of Ulleungdo after the Imjin War (the Japanese invasions of Choseon in 1592), focusing on the request for exploration of Ulleungdo (Uijukdo Island) by the Japanese side (Tsushima-han) in 1614 and Choseon's response to it.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logic of the Choseon government's territorial rights over Ulleungdo and the policy of the border management (border defense) reflected in the replying Seogye (the formal diplomatic document) of the Dongrae-Busa (Yoon Su Gyeom and Park Gyeong Up) in 1614 were consistently maintained in the Seogye of Yejo (Yejo Champan Lee Yo, 1694.9) during the negotiation of ‘Territorial Dispute over Ulleungdo' at the end of the 17th century. ① The logic of ‘One Island-Two Names’, called ‘Uijukdo Island (Takeshima) = Ulleungdo’, was already used since 1614 as the basis for Ulleungdo being under Choseon's territorial rights. ② In the Dongrae-Busa's two official documents issued to the Lord of Tsushima-han, it was stated that 'unauthorized sailing to Ulleungdo by Japanese (or Japanese ships) is prohibited' and that even if they are Japanese civilians, they will be 'punished' if they deviate from the route ('Tsushima↔Busan Port' direct route) established in the 'Treaty' (Giyu Treaty, 1609). This was considered to reflect the board management policy based on Choseon's sailing prohibition since the mid-15th century. ③ It was examined after receving the response documents of Dongrae-Busa (1614; Yoon Soo Gyeom and Park Gyeong Up), which included a request to ‘deliver the Prohibition of Japanese (or Japanese ships) unauthorized sailing to Ulleung Island to the Shogunate’, how Tsushima-han handled it.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despite the Tsushima-han having kept and reviewed it for nearly 80 years until 1695 when the negotiation of ‘Territorial Dispute over Ulleungdo' (1693~1699) was underway, they ultimately did not submit the response documents of the Dongrae-Busa (1614, Yoon Su Gyeom and Park Gyeong Up) as evidence of 'Ulleungdo = Takeshima' to the Shogunate. For that reason, it was inferred that the request for an exploration of Ulleungdo Island (Uijukdo Island) by impersonating Ieyasu may have been intentionally omitted in terms of the survival and profit of Tsushima-han.

다운로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