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전북학 DB

전북학연구

< ISSN 2713-5772 >

『전북학연구』는 복합학을 지향하는 학술지입니다. 전북특별자치도와 관련있는 다양한 주제가 연구되고 논의되어 전북학 연구의 새로운 담론이 형성될 수 있도록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과 참여바랍니다.

전북학연구, Vol.8 (2023)
pp.81~107

- 1930~40년대 익산문묘 예산의 식민지적 운용과 ‘동원된 전통’ -

설주희

(전주대학교 역사문화콘텐츠학과 객원교수)

조선총독부는 식민지배정책을 조선 촌락까지 효율적으로 전파시키기 위해 각종 지역공동체와 사회단체를 활용하였다. 이로 인해 일제강점기 향교는 자연스럽게 식민권력의 통제권 안으로 포섭되었고, 식민권력은 향교를 통해 촌락 말단까지 식 민 이데올로기와 일본제국주의의 효용 가치를 홍보하였다. 본고에서는 이 점에 착 안하여 일제강점기 향교가 식민 이데올로기에 맞추어 활동한 실제 사례를 익산문 묘 예산 보고서를 통해 살펴보았다. 익산문묘 세입·세출 분석 결과 전통시대 지역민의 윤리적 소양과 교화, 성현에 대한 예를 집례하던 향교는 일제강점기 이후 그 운영 형태에 변화가 발생하였다. 향교 운영권 및 재산처분권이 지역 유림이 아닌 조선총독부 권한으로 이관되었고, 이로 인해 향교 활동 역시 관변적인 성향을 보였다. 전시체제기에 가까울수록 향교 의 식민지 동원 활동은 더욱 노골화 되었다. 익산문묘의 관변적 활동 양상이 가장 잘 나타나는 지출 항목은 ‘교화비’와 ‘기부 및 보조금’이다. ‘교화비’는 지방개량비, 강연 및 강습회비, 선행자 표창비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모두 1930년대 중반부터 이루어진 식민지배정책과 관련되어 전 시체제기 지역사회 동원에 그 목적이 있었다. ‘기부 및 보조금’ 지출의 특징은 ‘식 민지배 관련 단체 지원’과 ‘시찰(視察) 지원’이었는데 이 역시 시국 인식 및 전시체 제 동원을 위한 활동의 일환이었다. 전근대 향교는 지역민 교화와 향촌 교육을 중점으로 활동하였지만 근대에는 식 민지배체제에 예속되어 식민선전기관으로 전락하였다. 1930~40년대 익산문묘의 지역사회 활동 역시 외피만 ‘향교’라는 전통의 형태를 띠고 있을 뿐, 운영의 본질 은 근대 식민권력기구 형태와 동일하였다. 익산문묘는 전근대와 동일하게 ‘교화’를 표방하였지만 이 때의 교화는 근대 식민주의가 유입된 이전과 다른 형태의 교화였 고, 사회교화의 중요성은 일제 패망이 가까워질수록 더욱 강조되었다.

Colonial Management for the Budget of Iksan-Hyanggyo in the 1930s and 1940s

Seol, Ju-hee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utilized various communities and social groups in order to effectively spread the ruling policy to villages. As a result, Hyanggyo (Confucian school) was brought over to the influence of Japanese imperialism. It used Hyanggyo to propagandize its colonial ideology and the benefit of Japanese imperialism even to the low-tier villages. Paying attention to this point, the actual cases that Hyanggyo made its activities according to the imperial polic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investigated in this paper. For the research data, the budget report of Iksan Hyanggyo was us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venue and expenditure of Iksan Hyanggyo, it was found that, after the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there occurred a change of the operational practice in Hyanggyo which used to maintain the edification of local residents and the propriety for sages in the traditional era. Since the right to operate Hyanggyo and dispose its property belonged to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but not to the local scholars, the activities of the Hyanggyo were oriented to the government. The closer to the wartime period, the more explicit Hyanggyo's colonial mobilization activities became. The expenditure items that showed the most active community activities of Iksan Confucian shrine were 'edification expense' and 'donation and subsidy'. All of these are related to the ruling policy of the mid-1930s. The purpose of these activities was to mobilize the local community in the wartime system. And the characteristics of 'donation and subsidy' expenditures were lying in 'supporting the groups related to colonial rule' and 'supporting political inspections'. This was also an activity for the wartime mobilization. In the pre-modern era, Hyanggyo made its activities focusing on the education of country village and the edification of local residents, but in the modern era, it became subordinated to the colonial regime and degenerated into a propaganda agency for the colonial policy. In the 1930s and 1940s, the local community activities of the Iksan Confucian Shrine took the traditional form of ‘Hyanggyo’ only outwardly, but the essence of its operation was also same as that of the modern colonial organization. Iksan Hyanggyo emphasized the same 'edification' as in the pre-modern era, but at this time, edification was a different form of edification combined with modern colonialism, and the importance of social indoctrination was emphasized more as being closer to the collapse of Japanese empire.

다운로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