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전북학 DB

전북학연구

< ISSN 2713-5772 >

『전북학연구』는 복합학을 지향하는 학술지입니다. 전북특별자치도와 관련있는 다양한 주제가 연구되고 논의되어 전북학 연구의 새로운 담론이 형성될 수 있도록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과 참여바랍니다.

전북학연구, Vol.6 (2022)
pp.75~102

- 6세기 전후 전북 동부지역 가야세력과 신라의 관계에 대하여 -

김선숙

(사단법인 국학연구소 연구원)

문헌상으로는 금관가야가 532년(법흥왕 19)에, 대가야가 562년(진흥왕 23)에 각 각 멸망하였다. 그런데 『일본서기』 흠명기 기사 속에는 562년경 신라가 가라국과 안라국을 비롯한 가야 10개국을 모두 멸망시킨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학계에서는 신라에 의한 가야 병합이 대가야의 멸망을 전후하여 최종 투항 상태를 전하는 것 일 뿐 일시에 이루어지진 않았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들 가야 10개국 가운데 졸마국과 마찬가지로 임예국 역시 아직까지 정확한 위 치를 알 수 없다. 그럼에도 기존에는 졸마국을 함양에, 임예국을 의령에 각각 비정 해 왔다. 그런데 임예국은 『일본서기』에 따르면 신라에 의해 토벌된 가야 소국 가 운데 가장 마지막으로 언급된 나라이면서 걸손국 산청과 비교적 가깝고 장수 등 전북 동부지역과도 근거리에 위치한다. 따라서 비록 명확한 증거자료는 없을지라도 임예국의 위치를 다시 추정해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에서는 가장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함양(咸陽)을 지목하였다. 함양은 동쪽으로 거창과 산청, 서쪽으로 전북 남원과 장수, 남쪽으로 하동, 북쪽으로 거장군과 접해 있다. 그러므로 졸마국은 함양이 아닌 김천에, 임예국은 의령이 아닌 함양에 각각 비정하는 것이 좀더 타당하지 않을까 한다. 신라는 5세기 후반 이후부터 이미 대가야 및 금관가야 등 가야 여러 지역과의 교류를 통해 그들에 대한 정치적 영향력도 강화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고구려 및 백제의 동향과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 즉, 백제는 북쪽에서 내려오는 고구려의 남하에 정치·군사력을 집중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백제의 성왕은 즉위하자마자 신 라에 사신을 보내거나 고구려의 침공으로 어려움을 겪자 신라에게 청병을 요청하 는 등 신라와는 되도록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려 했다. 또한 그는 가야지역으로 백제의 군대를 파견하여 성을 쌓게 하는 일까지 추진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백제는 가야지역에 대한 신라의 진출에 대해서 외교책을 통해 관리하려 했을 것이다. 반면 신라는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초반에 걸쳐 전북 동부지역 가야세력과의 접 촉이나 교역을 통해 백제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신라는 가 야를 둘러싼 당시 주변국의 상황을 파악하고 적극적으로 가야 남부지역에 진출하 는 대외정책을 펼쳤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신라에 의한 전북 동부지역으로의 진출 루트는 운봉고원에서 진안고원으로 넘어가는 방향이었고 전북 동부지역의 남원 월 산리나 두락리 일대는 내륙교통로로서 신라가 가야지역으로 진출하기 위한 핵심요 충지이며 철의 생산지가 분포되어 있는 곳이기도 하였다. 이곳에서 신라 관련 유물 이 발견된 것뿐만 아니라 전북 무주에서도 6세기 중엽 이후로 편년되는 신라 유물 이 발견된 것이다.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Gaya and Silla in the Eastern Region of Jeonbuk around the 6th Century

Kim, Sun-sook

The Geumgwan Gaya was destroyed in 532 and the Daegaya was destroyed in 562. In the Japanese history book, it is recorded that Silla destroyed all 10 Gaya countries including Garakguk and Anraguk around 562. In academia, it is judged that the merger of Gaya by Silla was only a final surrender state before and after the destruction of Daegaya, but it was not done at a time. However, among these 10 countries, the country is not yet known exactly as the country. In particular, the country is the last mentioned country among the small countries of Gaya, which was subjugated by Silla, and is relatively close to Sancheong, a state of the Gulsong country, and is located near the eastern part of Jeonbuk including longevity. There is no clear evidence, but if we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salt station, it is the most likely area. Hamyang is bordered by Geochang and Sancheong to the east, Namwon and Jangsu in Jeonbuk to the west, Hadong to the south, and Daejang to the north. Accomply, it is more reasonable for the Jolma- guk to be in Gimcheon, not in Hamyang, and for the Yimyea-guk to be in Hamyang, not in Uiryeong. Silla is expected to have strengthened its political influence on them through exchanges with various regions such as Daegaya and Geumgwan Gaya since the late 5th century. This is not related to the trend of Goguryeo and Baekje, that is, Baekje had to concentrate political and military power under the south of Goguryeo coming down from the north. As soon as Baekje was crowned, King Seong of Baekje sent an envoy to Silla or tried to maintain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Silla as much as possible, asking Silla for a blue army when he suffered from the invasion of Goguryeo. He also dispatched Baekje's army to the Gaya area to build a castle. Therefore, Baekje would have tried to manage Silla's advancement into the Gaya area through diplomatic measures. On the other hand, Silla would have been watching Baekje's trend through contact with Gaya forces in eastern Jeonbuk and trade from the late 5th century to the early 6th century. And Silla is thought to have grasped the situation of neighboring countries at the time of Gaya and actively implemented foreign policy to advance into the southern region. The route to the eastern part of Jeonbuk by Silla was the direction from Unbong Highland to Jinan Highland, and Namwon Wolsan or Durakri in the eastern part of Jeonbuk was the core hub for Silla to advance into Gaya as an inland transportation route and was also the place where iron production sites are distributed.In addition to the discovery of Silla-related artifacts here, Silla artifacts, which have been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have been found in Muju, Jeonbuk.

다운로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