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전북학 DB

전북학연구

< ISSN 2713-5772 >

『전북학연구』는 복합학을 지향하는 학술지입니다. 전북특별자치도와 관련있는 다양한 주제가 연구되고 논의되어 전북학 연구의 새로운 담론이 형성될 수 있도록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과 참여바랍니다.

전북학연구, Vol.6 (2022)
pp.1~32

- 조선후기 전북 지역 읍치 경관의 원형과 주요 유형 -

전종한

(경인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

조선후기 한반도에는 약 330개소의 읍치가 있었고 오늘날의 전북 지역에는 그 중 26개소가 분포하였다. 각 읍치에는 조선왕조 오백여 년 동안 관아 시설과 제향 공간을 비롯해 당대의 인간-자연 관계 및 사회와 문화, 지배적 관념 등을 함축한 다양한 경관과 장소들로 채워지며 읍치 경관으로 수렴하였다. 읍치 경관은 한반도 의 전통도시경관이자 오늘의 관점에서 귀중한 역사도시경관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관점보다는 당대 사람들의 시선에 비친 읍치 경관의 주요 요소와 유형을 분류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872년 지방 지도에서 묘사하고 있는 산줄기와 물줄기, 주요 경관 요소의 공간 배치 등을 해석하였다. 이 고지도는 읍치 경관에 대한 그 시대 사람들의 공간 인지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진안현 사례는 주요 관아 시설의 건축 양식 및 공간 배치를 비롯해 고을 관아 지구가 전체적으로 어떤 원형을 연출하였는지 추정할 수 있게 한다. 아사 중심형, 객사 중심형, 객사-아사 포괄형, 객사-아사 분기형, 기타, 이 5가지 유형이 그것이 다. 다만 전북 지역 읍치 경관의 원형을 보다 온전히 추적하기 위해서는 26개 읍치 경관에 대한 세부 연구 및 타지역 읍치 경관과의 비교 연구가 후속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전북 지역 읍치 경관의 주요 유형을 5가지로 분류하였다.

The Prototype and Major Subtypes of Eupchi Landscapes in Jeonbuk Reg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Jeon, Jong-han

There were about 330 eupchi(town seats) i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26 of them were distributed in present-day Jeonbuk region. During the five hundred years of the Joseon Dynasty, each eupchi was filled with various landscapes and places that implied the human-nature relationship, society and culture, and dominant ideas of the time, including facilities for government officials and ancestral spaces, and the eupchi landscapes were born. Eupchi landscape is a traditional urban landscap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 valuable historical urban landscape from today's point of view. The Jinan-hyeon case makes it possible to estimate the architectural style and spatial arrangement of major government facilities, as well as the overall shape of the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 On the other hand, in this study, in order to classify the main types of eupchi landscap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ime rather than the perspective of the present, the mountain ranges and watercourses depicted on the local map in 1872, and the spatial arrangement of major landscape elements were analyzed. This is because the old map reflects the spatial perception of the people at the time of the eupchi landscape. Based on this, the main types of eupchi landscapes in the Jeonbuk region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ie. Asa-centered type, Gaeksa-centered type, Gaeksa-Asa inclusive type, Gaesa-Asa branching type, and others. However, in order to more wholly trace the original landscape of townships in Jeollabuk-do, detailed studies on 26 eupchi landscapes and comparative studies with eupchi landscape in other regions should be followed.

다운로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