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전북학 DB

전북학연구

< ISSN 2713-5772 >

『전북학연구』는 복합학을 지향하는 학술지입니다. 전북특별자치도와 관련있는 다양한 주제가 연구되고 논의되어 전북학 연구의 새로운 담론이 형성될 수 있도록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과 참여바랍니다.

전북학연구, Vol.4 (2021)
pp.57~77

- 후백제 역사성격과 후백제 문화권설정 -

조법종

(우석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후백제는 후고구려 즉, 태봉과 함께 신라후기 새로운 후삼국시대를 열은 주역으 로서 특히, 후백제왕 견훤은 가장 먼저 새로운 역사행보를 시작하였다는 점에서 한 국역사상 새로운 역사를 전개하였다. 특히, 기존 삼국시대의 국가간 대결 양상과는 달리 신라로 통일된 상황에서 신라의 국가 운영이 한계에 달한 시대적 상황에서 새로운 대안과 과거 역사적 근거에 기반하여 새로운 왕조를 개창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즉, 견훤은 신라사회의 골품제적 한계와 정복지역에 대한 가혹한 수탈 등 신라가 통일된 국가를 운영할 체계와 방식을 새롭게 구축하지 못하고 기 존 방식을 고수하며 그 한계를 노출할 때 그 같은 문제에 대한 대안과 비전을 제시 하며 새로운 국가를 개설하였다. 그같은 새로움의 상징은 ‘정개(正開)로 대표되는 견훤왕의 연호에서 그 의미를 추측할 수 있다. 한편, 견훤은 후백제를 공식적으로 출범하며 우리 역사의 정통을 마한과 백제로 연결짓고 그 근거지로서 금마 즉, 현재의 익산지역을 제시하여 우리 역사의 근본적 인식틀이 고조선-마한으로 연결되었으며 이를 계승한 국가가 백제이며 그 정통을 되살리기 위해 다시 백제를 부활하였음을 천명하였다. 이같은 인식은 결국 신라의 역사적 한계와 문제점에 대한 정확한 문제제기이자 잘못되었던 역사체계와 백성에 대한 희망을 제시하는 대안을 천명한 것이었다. 그런데 이같은 견훤의 인식과 함꼐 제시된 것은 백제부활의 실제목표 가운데 ‘의자왕의 숙분’을 해소하겠다는 내용이다. 이는 신라와 당에 의한 협공으로 붕괴 된 백제의 아픔을 회복하겠다는 명분이자 관련지역민을 중심으로 감정적 호소를 통한 결집력을 염두에 둔 내용이었다. 그러나 이같은 감정적 모토는 결국 지역과 과거 연고성에 근거한 한계와 정치적 보복이 명시되었다는 점에서 한계와 문제를 함께 보여준 것이다. 결국 후백제의 역사성격은 이같은 특성과 한계속에서 새로운 역사상을 전개시켰다. 이와함께 본고에서는 최근 발의된 ‘역사문화권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한 후백제문화권설정의 필요성과 의미에 대해 함께 검토하고자 한다.

Studies on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Later Baekje(後百濟) and Establishment of Later Baekje Historical and Cultural Area

Cho, Bup Jong

Later Baekje unfolded a new history in Korean history, especially in that King Gyeon Hwon of Later Baekje was the first to start a new historical course as the protagonist who opened a new era of the Later Three Kingdoms in the late Silla period along with Later Goguryeo, that is, Taebong. In particular, it has a great meaning in that it opened a new dynasty based on new alternatives and historical evidence in the past in a situation in which the state management of Silla reached its limit in the situation of unified Silla, unlike the confrontation between nations in the existing Three Kingdoms era. have. In other words, Unified Silla failed to establish a new system and method to run a unified state, such as the limitations of the Silla society and the harsh extortion of conquered areas, but adhered to the existing method and exposed its limitations. At this time, King Gyeon Hwon opened a new country by suggesting an alternative and a vision for such a problem. The meaning of such a symbol of novelty can be inferred from the era name of King Gyeon Hwon represented by ‘Jung Gae’. Meanwhile, Gyeon Hwon officially launched Later Baekje, connecting the orthodox history of our history to Mahan and Baekje, and presented Geumma, that is, the present Iksan region as a base, so that the fundamental framework of our history was connected to Gojoseon-Mahan, and it was succeeded. It was declared that the country was Baekje and that Baekje was resurrected to revive its orthodoxy. In the end, such a recognition was to raise an accurate problem about the historical limitations and problems of Silla, and to proclaim an alternative that offered hope for the erroneous historical system and people. However, along with this recognition of Gyeon Hwon, the actual goal of the Baekje revival is to resolve the 'royalty of King Uija'. This was the justification for recovering the pain of Baekje, which had collapsed due to the attack by Silla and the Tang, and the content that had in mind the power of unity through emotional appeal centering on the local people concerned. However, this emotional motto ultimately showed limitations and problems in the sense that limitations and political retaliation based on regional and past ties were specified. In the end, the historical nature of Later Baekje developed a new history within thes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In addition, this paper intends to review together the necessity and meaning of the establishment of the later Baekje cultural sphere based on the recently proposed ‘Special Act on the Establish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Sphere, etc.’.

다운로드 목록